로그인
CLOSE

게시판

2019.10.16 10:09

천주교 장레

조회 수 6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주교 장례순서


장례 생전에 영세를 받은 사람은 ‘성교예규(聖敎禮規)’에 의해 장례를 치른다. 천주교나 기독교라 하더라도 신앙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통의 관습이나 의식을 병행하기도 한다.

임종 전

가능하면 정신이 맑을 때 미리 세례를 받거나 영세를 받을 의사를 타진하여시행하는 것이 좋다. 임종이 임박하여 급히 세례를 받고자 하나, 신부를 모셔올 여유가 없으면 교우회장이나 수녀로부터 대신 세례를 받을 수 있다. 임종이 예견되면 탁자에 백지나 백포를 깔고 십자고상(十字苦像)과 촛대 두 개, 성수 그릇과 성수채를 준비해 두고 미리 선부에게 연락을 취한다.

종부성사(終傅聖事)

운명할 때 행하는 성사로 가족들은 미리 환자의 눈, 코, 입, 손과 발을 씻기고 신부에게 고해성사를 할 수 있도록 모두 물러난다. 고해성사가 끝나면 신부는 종부성사를 행한다. 임종시 신부가 없을 경우에는 주위 가족들이 위로와 격려의 말을 들려주고 성서 가운데 거룩한 구절을 읽어 준다.

운명

운명시에는 성초에 불을 켜고 임종경(臨終經)이나 성모덕서도문, 매괴경 등을 읽는다. 운명한 뒤에도 얼마동안 계속해 주며 편안함 임종을 위해 거룩한 기도문이나 성가를 들려준다. 환자가 운명하면 눈와 입을 다물게 하고 두 손을 합장시켜 십자고상을 쥐어 준다. 상위에 고상을 모시고 좌우에 촛불을 켜며 성수와 성수채를 입관 때까지 놓아둔다. 가족들은 그 옆에 꿇어 앉아 연도(煉禱)한다. 염경이 끝날 때마다 성수를 뿌리며 만 하루가 지나면 정해진 경을 외고 시신을 닦고 수의를 입혀 입관한다.

위령미사(연미사)

연옥에 있는 사람을 위해 천주께 올리는 제사의 의미로 임종시 본당 신부에게 곧바로 알려 미사 예물을 전하고 미사를 청하여 장례일과 미사일정 등을 의논하여 결정한다.

장례식

영구를 성당으로 옮겨 연미사와 사도예절을 거행한다. 입관, 출관, 행상, 하관등은 성교예규에 따라 시행한다.

하관

장지에 도착하면 묘지 축성기도를 하고 영구와 천광에 성수를 뿌리고 하관기도를 한 후 하관한다.

장례 후

3일, 7일, 30일, 소상과 대상 때에 연미사를 올리고 가족의 고해, 영성체를 행한다. 천주교 상례에서도 신앙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간소한 음식을 접대하거나 묘소를 찾고 성묘하는 것 등은 예전부터 행하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