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CLOSE

묘지이장

장묘법인 (주)한국장묘컨설팅 은 내 부모, 내 형제를 모시는 정성으로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왜 묘지이장ㆍ개장을 해야 하나요 ?
예로부터 집안의 우환이나 여러가지 경조사들이 발생할 때 또는 조상님께 그 예를 다하여 묘지이장을 하고 가문과 후손의 안녕을 기원하는 점에서 묘지이장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에는 전혀 다른 문제로 묘지이장ㆍ개장을 하고 있습니다. 거리가 멀어 관리하기 힘든 묘지를 후손들과 좀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그 예우를 다할 때, 수 많은 매장으로 인한 국토효율성 저하를 낮추기 위해,이장 개장 등을 하시고 계십니다.
묘지이장
분묘를 옮겨 장사 지내는 것으로 풍수학의 자손의 발복염원 (發福福願)과 개발 등으로 분묘의 위치 옮기는 작업을 말합니다. 분묘는 유지하되 분묘의 위치를 바꾸는 일
 
묘지개장
분묘를 파묘하여 조상의 유골을 수습해 화장을 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후 분묘는 없애고, 유골은 납골시설(납골당,납골묘,수목장)에 안치하여 이용하게 되는 일
 
묘지이장 절차
묘지이장을 계획하시고 계시다면 먼저 (주한국장묘 (1668-1904) )에 의뢰하여 정확한 견적(비용)을 확인하시고 방법이나 절차를 상의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로 더 예의 바르고 더 편안한 묘지이장ㆍ개장 서비스를 약속 드리며 내 조상을 섬기는 정성으로 예의를 갖춰 편안하게 모시겠습니다.
 
묘지이장 상담
홈페이지 또는
전화상담 접수(1668-1904)
현장답사
작업설명,견적서제출
이장하기좋은날 안내
묘지이장 신고
웁,면,동사무소 개장신고

파묘
산신제 후 파묘
유골수습, 장지이동
묘지 조성
묘지형태잡기,유골하관
묘지조성,사초,석물설치
새 묘지자리를 선정
어떤 이유로 이장을 하던지 조상의 유골은 동기감응에 따라 후손에게 분명히 영향을 미치므로 새로운 묏자리를 선정하여 이장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1.jpg
  • 20150316_163449.jpg
 
이장할 날짜와 하관시간
이장날짜와 하관시간은 묘지선정과 함께 중요하며 일반적인 손없는 날로 택일하는 것이 아니라 장묘에 맞는 택일을 하여야 합니다. 날씨가 맑고 흐린것과 길일하고는 관계가 없습니다.
  • 이장날짜.jpg
  • 이장시간.jpg
묘제와 산신제
제수는 집안 풍습대로 하되 정성을 드려서 준비합니다. 산신제는 상주와 지관이 먼저 지내고 묘제는 상주가 지냅니다. 산신제는 3배반, 묘제는 2배반 절을 합니다.
  • 3.jpg
  • 4.jpg
 
파묘작업
묘지의 좌측부터 사방에 한 삽씩 흙을 파낸 후 파묘를 시작합니다. 파묘시 일정한 깊이까지는 포크레인을 사용할 수 있지만 유골을 수습할 때는 포크레인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5.jpg
  • 6.jpg
유골수습
모든 유골이 중요하겠지만 특히 두개골과 척추,치아는 중요하기 때문에 발 부분부터 수(手)작업으로 수습하며 수습된 유골은 정제수로 닦아 두개골을 시작으로 칠성판 위에 모십니다.
  • 20150316_163445.jpg
  • 8.jpg
 
새로운 묘지터 조성
묘지터는 풍수지학적으로 짚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묘지의 좌향(방향)등 여러가지 사항을 전문가와 상의 하여야 만 조상의 유골을 잘 모셔 묘탈을 막고 발복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 20150316_163446.jpg
  • 2.jpg
묘지이장시 필요한 서류

개인/종중묘지 - 해당 읍·면,동사무소에서 묘지개장신고필증 1통

시립/공원묘지 - 시립/공원 묘지 관리사무소에서 발부하는 묘지개장 확인서 1통

  • 01

    묘지사진

    묘지개장 신고 전 분묘의 근거리, 원거리
    사진 1부씩 촬영

  • 02

    망자의 가족관계증명서

    재적등본 또는 호적등본, 족보
    고인과 관계를 증명 할 수 있는 서류 준비

  • 03

    신분증 또는 주민등록등본

    대리신고시 : 직계권리자의 위임장 1부, 위임용 인감 1부, 주민등록등본 1부, 가족관계증명서 1부

  • 04

    개장신고서

    읍/면/동사무소에 비치되어 있음

  • 05

    신고우선순위(망자 기준)

    배우자, 자녀, 부모 등 선순위자가 아닐 경우 위임장 또는 인감증명서 필요 분묘가 소재하고 있는 읍/면/동사무소에서 서류 지참하여 개장신고 후 <개장신고필증>수령